BaGyun
빠균's 개발노트
BaGyun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71)
    • Today I Learned (44)
      • 오류 (8)
      • JavaScript (15)
      • TypeScript (9)
      • NodeJS (0)
      • NestJS (0)
      • Database (3)
      • ORM (1)
      • 알고리즘 (2)
      • 개인공부 (4)
      • Deploy (0)
      • Git (1)
    • 개인프로젝트 (4)
    • 알고리즘 (14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14)
    • 면접질문 (5)
    • 회고 (3)

인기 글

반응형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BaGyun

빠균's 개발노트

[프로그래머스] K번째 수
알고리즘/프로그래머스

[프로그래머스] K번째 수

2022. 4. 25. 15:17

문제 설명
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

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

  1.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
  2.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
  3.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

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 -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
 -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
 -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.

 -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.

입출력 예

array commands return
[1,5,2,6,3,7,4] [[2, 5, 3], [4, 4, 1], [1, 7, 3]] [5, 6, 3]

입출력 예 설명

[1, 5, 2, 6, 3, 7, 4]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2, 3, 5, 6]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6]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. [1, 2, 3, 4, 5, 6, 7]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.

 

이 문제 같은경우에 문제 설명에 나와있는 순서를 그대로

식으로 표현해보면 될거같다라는 생각으로

자르는건 slice 메소드를 사용하고

잘라낸 배열의 숫자찾기는 push 메소드를 통해

빈 배열에 넣어주는 방법을 생각했다.

 

function solution(array, commands) {
const result = []
   for(let i =0; i<commands.length; i++){
       const newArr2 = array.slice(commands[i][0]-1, commands[i][1]).sort()
       result.push(newArr2[commands[i][2]-1])
     }
    return result
}

 

처음엔 이런식의 코드를 작성을 했으나, 정확성 테스트에서 한개의 문제가 실패했다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.

 

한개의 테스트 케이스가 실패한 스크린샷

 

작성한 식대로라면 틀릴 이유는 없다고 생각이 들었으나,

sort() 메소드의 경우 정렬할 때 요소를 문자열로 취급을 하기 때문에

2자리수가 넘어가면 제대로 정렬해주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

 

const arr = [23, 45, 12, 9]
arr.sort()
console.log(arr) // [12, 23, 45, 9]

 

이처럼 제대로 정렬을 못해주는 경우가 발생하는데

제대로 정렬을 하고 싶다면, 값을 비교해줄 수 있는 함수를 집어 넣어주면 된다.

 

arr.sort((a, b) => a - b); // 오름차순 정렬하기
arr.sort((a, b) => b - a); // 내림차순 정렬하기

 

function solution(array, commands) {
const result = []
   for(let i =0; i<commands.length; i++){
       const newArr2 = array.slice(commands[i][0]-1, commands[i][1]).sort((a, b) => a - b)
       result.push(newArr2[commands[i][2]-1])
     }
    return result
}

 

고로 이처럼 sort안에 값을 비교해주는 함수를 넣어주면

모든 테스트케이스에서 통과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.

'알고리즘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프로그래머스] 오픈채팅방  (0) 2022.07.28
[프로그래머스] 문자열 압축  (0) 2022.07.27
[프로그래머스]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  (0) 2022.07.21
[프로그래머스]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  (0) 2022.07.20
[프로그래머스] 완주하지 못한 선수  (0) 2022.04.07
    '알고리즘/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프로그래머스] 문자열 압축
    • [프로그래머스]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
    • [프로그래머스]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
    • [프로그래머스] 완주하지 못한 선수
    BaGyun
    BaGyun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