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odal
export const Modal = () => {
const [isOpen, setIsOpen] = useState(false);
const openModalHandler = () => {
setIsOpen(!isOpen)
// true가 아닌 !isOpen 으로 해준 이유는 클릭할 때마다 상태를 변환해주기 위함!
};
return (
<>
<ModalContainer>
<ModalBtn onClick={openModalHandler}>
{isOpen ? 'Opened!' : 'Open Modal'}
</ModalBtn>
{isOpen ? <ModalBackdrop onClick={openModalHandler}>
<ModalView onClick={(event) => {event.stopPropagation()}}>
<div className="close-btn" onClick={openModalHandler}>×</div>
//×는 'X'를 표현하는 HTML 엔티티(Entities)
<div>Hello</div>
</ModalView>
</ModalBackdrop> : null}
</ModalContainer>
</>
);
};
모달 창을 제외한 백그라운드를 종료하고 싶어서
<ModalBackdrop onClick={openModalHandler}> 를 입력하면 작동이 잘 되는 줄 알았으나,
어디든 클릭하면 모달창이 종료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는데 이벤트 버블링이라하여,
간단히 설명하자면 한 요소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부모의 이벤트도 발생한다는 것이다.
이것을 막아주기 위해서 해당 이벤트 핸들러에 stopPropagation()를 활용해주면 된다.
Toggle
const ToggleContainer = styled.div`
position: relative;
margin-top: 8rem;
left: 47%;
cursor: pointer; //cursor는 종류가 다양하니 한번쯤 알아보자
> .toggle-container {
width: 50px;
height: 24px;
border-radius: 30px;
/* background-color: #8b8b8b; */
background-position: right;
background: linear-gradient(to left, #8b8b8b 50%, blue 50%) right;
background-size: 200%;
transition: 1s;
&.toggle--checked{
background-position: left;
background: linear-gradient(to right, blue 50%, #8b8b8b 50%) left;
background-size: 200%;
transition: 1s;
}
}
> .toggle-circle {
position: absolute;
top: 1px;
left: 1px;
width: 22px;
height: 22px;
border-radius: 50%;
background-color: #ffffff;
transition : 1s;
&.toggle--checked{
left : 27px;
transition : 1s;
}
}
`;
const Desc = styled.div`
display: flex;
justify-content: center;
margin-top: 20px;
margin-left: 15px;
`;
토글에선 CSS 부분에서도 배운 점이 많다.
background에 linear gradient(선형 그레디언트)는 배경 이미지에 넣는 background-image 속성에도 사용이 가능하다.
브라우저가 생성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사용했을 때보다 용량이 적고, 화면을 확대해도 이미지보다 선명하게 나온다.
각도나, 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, 기본값은 위에서 아래로 설정되어 있다.
또한 transition으로 애니메이션을 추가하여 포인트를 줄 수 있다.
/* 방향 */
background:linear-gradient(to right,blue 50%,#8b8b8b 50%) //왼쪽에서 오른쪽으로
background:linear-gradient(to top right,blue 50%,#8b8b8b 50%) //상단 오른쪽으로
background:linear-gradient(to bottom right,blue 50%,#8b8b8b 50%) //하단 왼쪽으로
/* 각도 */
*deg는 degree의 약자
background:linear-gradient(45deg,blue 50%,#8b8b8b 50%) //하단 왼쪽에서 상단 오른쪽 방향(45도 방향)
background:linear-gradient(90deg,blue 50%,#8b8b8b 50%) //왼쪽에서 오른쪽 방향
/* 음수값도 가능 */
export const Toggle = () => {
const [isOn, setisOn] = useState(false);
const toggleHandler = () => {
setisOn(!isOn)
};
return (
<>
<ToggleContainer onClick={toggleHandler} // 클릭 할때마다 setisOn boolen값 변환
<div className={`toggle-container ${isOn ? "toggle--checked" : ""}`}/>
<div className={`toggle-circle ${isOn ? "toggle--checked" : ""}`}/>
//Toggle Switch가 On일 경우에만 표시해주기위해 삼항연산자 사용
</ToggleContainer>
<Desc onClick={toggleHandler}>{isOn ? 'Toggle Switch On' : 'Toggle Switch Off'}</Desc>
//Toggle Switch가 ON인 상태일 경우에 Desc 컴포넌트 내부의 텍스트를 'Toggle Switch ON', 그렇지 않은 경우 'Toggle Switch OFF'가 된다
</>
);
};
백틱을 사용하여 Toggle Switch가 On일 경우에만 클래스네임을 각각을 따로따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.
Tab
export const Tab = () => {
// currentTab 상태와 currentTab을 갱신하는 함수가 존재해야 하고,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한다.
const [currentTab, setCurrentTab] = useState(0)
const menuArr = [
{ name: 'Tab1', content: 'Tab menu ONE' },
{ name: 'Tab2', content: 'Tab menu TWO' },
{ name: 'Tab3', content: 'Tab menu THREE' },
];
const selectMenuHandler = (index) => {
setCurrentTab(index)
//해당 함수가 실행되면 현재 선택된 Tab Menu 가 갱신되도록 함수를 완성한다.
};
return (
<>
<div>
<TabMenu>
{/* li 엘리먼트의 class명의 경우 선택된 tab 은 'submenu focused' 가 되며,
나머지 2개의 tab은 'submenu' 가 된다. */}
{menuArr.map((el, index) => {
return <li key={index}
className={`${index === currentTab ? 'submenu focused' : 'submenu'}`}
onClick={() => selectMenuHandler(index)}>
{el.name}
</li>
})}
{/* <li className="submenu">{menuArr[0].name}</li>
<li className="submenu">{menuArr[1].name}</li>
<li className="submenu">{menuArr[2].name}</li> */}
//하드코딩을 하지않고, map으로 각각의 class명을 지정해줘서 관리가 가능하다.
</TabMenu>
<Desc>
<p>{menuArr[currentTab].content}</p>
</Desc>
</div>
</>
);
};
버튼을 눌렀을 때, CSS를 활용하여 버튼을 눌렀다는 표시를 해줄 수 있으며
map()함수로 내가 누른 탭 버튼과 누르지 않은 탭버튼의
클래스를 지정해줘서 관리해줄 수 있다.
Tag
export const Tag = () => {
const initialTags = ['CodeStates', 'kimcoding'];
const [tags, setTags] = useState(initialTags);
const removeTags = (indexToRemove) => {
setTags(tags.filter((el) => {
return el !== tags[indexToRemove]
}))
//태그를 삭제해주기 위해 filter()함수를 사용 중요**
};
const addTags = (event) => {
// - 이미 입력되어 있는 태그인지 검사하여 이미 있는 태그라면 추가하지 말기
// -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은 채 Enter 키 입력시 메소드 실행하지 말기
// - 태그가 추가되면 input 창 비우기
if(event.key === 'Enter'){
if(event.target.value.trim() && tags.includes(event.target.value.trim()) === false){
setTags([...tags, event.target.value])
event.target.value = '';
}
else if(!event.target.value.trim()){
event.target.value = '';
}
else if(tags.includes(event.target.value.trim()) === true){ // 이것까지 적어줘야 먼저 Tag되 있는 것을 똑같이 다시 적었을 때도 빈칸을 만들어준다.
event.target.value = '';
}
}
return (
<>
<TagsInput>
<ul id='tags'>
{tags.map((tag, index) => (
<li key={index} className='tag'>
<span className='tag-title'>{tag}</span>
<span className='tag-close-icon'
onClick={() => removeTags(index)}>×
{/* tag-close-icon이 tag-title 오른쪽에 x 로 표시되도록 하고,
삭제 아이콘을 click 했을 때 removeTags 메소드가 실행되어야 한다. */}
</span>
</li>
))}
</ul>
<input
className='tag-input'
type='text'
onKeyUp={(event)=> {addTags(event)}} // addTags(event)를 작동시켜서 Tag를 입력
placeholder='Press enter to add tags'
/>
</TagsInput>
</>
Tag를 만들면서 애를 많이 먹었는데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addTag의 맨 마지막 줄이다.
분명 HTML에서 확인했을 땐 저 마지막 줄까지 들어가야 같은 Tag 를 입력했을 때에도 비어있는 값을 배출해 줄 수 있는데,
테스트 케이스에선 계속 오류가 났다. 다시 한번 알아보자
'Today I Learned > 개인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OOL] joi (0) | 2022.10.23 |
---|---|
쿠키와 세션의 차이 (0) | 2022.09.05 |
[개인공부] node.js Express 에러 핸들링 (0) | 2022.07.22 |